8. 세계 최고(最古)의 벼농사 유물 볍씨
1994~2001년 기간 중에 우리나라 충북 청원군 소로리 일대에서 찍개, 긁개, 홈날, 몸돌, 격지 등 구석기 유물들이 매우 넓은 광범위한 지역에서 수습되면서 볍씨가 출토되었다.
흙속에 묻혀있는 볍씨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흙을 채로 쳐서 걸러지는 알갱이들을 현미경으로 하나하나 조사해서 볍씨를 찾아내야 하는 일이다.
소로리에서 출토된 볍씨들을 서울대학교 AMS(방사선탄소연대측정) 연구실과 미국의 지오크론(Geochron Lab.) 연구실에서 교차 측정한 결과, 1만 3,000년~1만 5,000년 전의 절대 연대값을 얻게 되어 '소로리 볍씨'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임이 판명되었다.
청원군 소로리에서 발굴된 법씨의 모습은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그림 1] 소로리 볍씨
즉, 인류의 약 60%가 쌀을 주식으로 먹고있는데, '벼'의 경작은 인류에게 있어서 '불'의 발견에 버금하는 기술혁신으로 인식하게 됨에 따라, 전세계 저명한 학자들은 인류의 발전과정과 관련하여 '벼' 경작이 언제부터 이루어졌는지에 관하여 많은 연구를 해 오고 있었다.
그간 1970~80년대까지는 주로 황하 유역에 있는 유적에서 발굴된 볍씨들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주장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양자강 유역인 호남성 도현 옥섬암(玉蟾岩) 유적에서 출토된 볍씨가 1만 1,000년 전으로 밝혀지면서 이 주장이 굳어지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런 시점에서 충북 청원군 '소로리 볍씨'가 출토되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로 공인되게 되었다.
충북 청원군 소로리와 양자강 유역인 호남성 도현 옥섬암 동굴유적, 강서성 선인동(仙人洞) 동굴유적, 하남성 하모도 유적 등 세계에서 오래된 볍씨들이 출토된 지역의 위치는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그림 2] 세계 최고의 볍씨 출토 유적지
충북 청원군 소로리볍씨는 1994년 지표조사, 1996~1997년 시굴조사, 1997~1998년 1차 발굴조사, 2001년 2차 발굴조사, 2012년 시추조사를 통해 토탄층에서 볍씨 127톨을 발견하였는데, 이를 방사성탄소연대 측정법으로 검증한 결과, 1만 5천 년 전 볍씨로 측정되었다.
이제까지 국제적으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인정받아 왔던 중국 강서성 선인동(仙人洞) 동굴에서 출토된 볍씨의 10,500년, 또는 호남성 도현 옥섬암 동굴유적에서 출토된 볍씨의 11,000년보다 대략 3,000년을 더 앞선 세계 최고(最古)의 볍씨임이 국제적으로 공인되었다.
1. 호남성 영주시 도현 옥섬암(玉蟾岩) 유적
소로리 볍씨가 발견되기 이전, 국제적으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인정받아 왔던 옥섬암(玉蟾岩) 유적은 BP 10,000년의 동굴유적인데, 4립의 볍씨가 출토되었다.
감정결과 야생도의 특징이 남아있고 산류(인디카)와 갱류(자포니카)의 분화가 완성되지 않은 초기 재배도임이 확인되었다.
2. 강서성 만년(萬年)현 선인동(仙人洞) 유적
선인동 유적은 강서성 만년(萬年)현에서 동북으로 15km 떨어진 작은 산의 석회 용암 동굴유적인데, 1960년대와 1990년대에 이 유적에 대한 발굴이 이루어졌다.
유적은 상하 2개의 문화층으로 나뉘는데, 불에 탄 소토(燒土), 구덩이, 다량의 동물뼈, 인골, 석기, 골각기, 조개껍질들이 출토되었다. 이 시기에 선인동 주민의 음식에는 이미 벼가 포함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3. 절강성 여도(余姚)시 하모도(河姆渡) 유적
하모도(河姆渡) 유적은 절강성 여도(余姚)시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미 학계에 널리 알려진 도작(稻作) 농경유적이다.
여기서 관심을 끄는 것은 하모도 제4문화층에서 큰 범위로 발견된 벼의 흔적이다. 도곡. 벼껍질, 경옆이 혼합된 상태로 두꺼운 문화층을 형성한다. 이처럼 벼의 양이 많고 보존이 양호한 유적은 중국 신석기시대 고고학사에서 보기 드문 현상이다. 당시 도작(稻作) 농경이 이미 상당한 수준에 도달하였음을 알려준다. 벼는 재배도의 늦은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우리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태조 이성계의 고향 화령(和寧)의 위치 (0) | 2017.02.03 |
---|---|
[스크랩] 5. 『삼국유사』 단군(檀君)의 건국(建國)이야기 (1) | 2017.01.26 |
장보고의 청해진은 대륙신라의 땅이었다! (0) | 2017.01.24 |
원(元) 지원(至元) 4년(A.D.1267)까지도 존재한 백제는 과연 어디에 있었을까? (0) | 2017.01.24 |
19세기(1870년경)까지도 조선의 강역은 대륙의 전부였다! (0) | 2017.01.24 |